해양 보전

Ocean Conservation

글로벌 30 by 30 목표에 부합하는 해양 환경 보전을 위한
국내외 정책 연구 및 제언 활동을 합니다.
주요 분야는 국내 해양 보호구역, 남극해 및 공해의 해양 보호구역 확대입니다.
해양 생물다양성의 장기적인 보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양 보호구역의 효과적인 관리와 이행 방안을 연구합니다.

 

국제 어업

International Fisheries

해양 보호를 위한 수산업의 투명성과 수산물의 추적성을 제고하기 위한
국내외 정책을 연구하고 제언합니다.
국제수산관리기구에서 환경 보전을 위한 보존 조치 제개정 협상 과정과
한국 정부의 입장을 모니터링합니다.
환경 파괴적인 어법을 종식하는 활동에 참여합니다.

 

재생에너지와 생물다양성

Renewable Energy and Biodiversity

해상풍력 등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에 미치는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을 마련하여 한국 정부와 국회에 제안하는 활동을 합니다.
재생에너지의 환경적·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공공성 확대 연구와
정책 생산 및 제언 활동을 진행합니다.

 

자원정의

Resource Justice

화석연료 의존에서 벗어나기 위해 수송 및 에너지 부문에서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한 전기화 전환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니켈, 리튬, 코발트와 같은 광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요 증가는 자원 채굴국에서
대규모 산림파괴, 생물다양성 손실, 석탄 사용 증가, 토착민 권리 침해 등
심각한 환경·사회 문제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광물 공급망의 배출량 감소, 주요 지역의 무분별한
채굴 방지, 토착민과 지역사회의 권리 보호를 목표로
조사 연구와 정책 제언 활동을 수행합니다.

 

자원순환

Resources Circulation

플라스틱 생산 감축을 목표로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책 제언 활동을 합니다.
또한,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의 일환으로
유엔 플라스틱 협약과 관련된 정책 연구를 수행하며,
주요 의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과 대응 방안을 면밀히 모니터링 합니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정책적 기반을 강화하고자 합니다.